|  |
2000. 9. 22. 서초동 소재 서울빌딩 207호 |
|
|
|
창립취지문 채택 및 학회 명칭 제안
학회 활동 영역 논의
공동대표 형식 결정 및 공동대표 추대논의 |
|
|
 |
2000. 10. 21. 서초동 소재 서울빌딩 207호 |
|
|
|
학회 명칭을 『한국NGO학회』라 하고, 당분간 한국NGO(학)회로 함.
영문표기는 THE KOREAN ASSOCIATION OF NGO STUDIES(KANGOS)로 함
회원규정, 공동 대표 5인 추대(임현진, 이필상, 김영래, 김석준, 강철규 교수)
창립대회 개최안 논의 |
|
|
 |
2000. 11. 17. 숭실대학교 경상대학 세미나실 |
|
|
|
임현진 교수 상임대표 선임 |
|
|
 |
2001. 1. 16. |
|
|
|
상임이사회 및 분과위원회 구성 관련 문제
2001년 학회운영관련 문제(정기학술회의 춘·추계 , 월례발표회)
정관 수정 문제 등 논의
홈페이지 개설 및 뉴스레터
학회지 발간 문제
회비 납부 문제 |
|
|
 |
2001. 11. 23. 한국외대 교수식당 |
|
|
|
정관개정(정식 학회 출범 관련)
12월 심포지움 및 정기총회 준비 논의 |
|
|
 |
2001. 12. 8. 이화여대 |
|
|
|
한국NGO학회 공식 출범 : 학회정관개정, 회장선출, 감사선출
김영래 교수(아주대)가 회장으로 선출
김경희 교수(중앙대)가 감사로 선출 |
|
|
 |
2002. 3. 8(금) 13:30~18:00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실 |
|
|
|
양대 선거와 시민단체ㆍ언론의 역할 |
|
|
 |
2002. 4. 11(목) 13:30~18:00 한신대학교 60주년기념학술관 국제회의실 |
|
|
|
지방화 시대와 NGOㆍ언론의 역할 |
|
|
 |
2002. 5. 10(금) 9:30~18:00 경희대학교 종합강의동 세미나실 |
|
|
|
NGO의 활동현황과 발전과제: NGO의 영역확장과 사회자본 |
|
|
 |
2002. 5. 23(목) 13:30~18:00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실 |
|
|
|
선거공영제와 정치자금 수요구조 개선방안 |
|
|
 |
2002. 11. 15(금) 09:30 ~18:20 한국외대 교수회관 2층 강연실 |
|
|
|
문명공존과 NGO의 역할 |
|
|
 |
2002. 12. 10(화) 07:30~09:00 한국프레스센터 20층 내셔널클럽 |
|
|
|
2002 대통령선거 대비 시민사회발전 정책토론회 |
|
|
 |
2003. 1. 28(화) 14:00~16:20 한국프레스센터 20층 내셔널프레스 클럽 |
|
|
|
노무현 정부의 출범과 시민운동의 과제 |
|
|
 |
2003. 5. 23(금) 08:00~9:00 연세대학교 상남경영관 |
|
|
|
학술회의, 학회보발간, 학회운영에 관한 기타 제반사항 논의 |
|
|
 |
2003. 5. 23(금) 9:30~18:00 연세대학교 새천년관 대강당 |
|
|
|
한국 사회의 정치경제적 성숙과 NGO/NPO의 역할 |
|
|
 |
2003. 9. 22(월) 국회 의원회관 회의실 |
|
|
|
정치개혁과 시민사회에 관한 한일 비교 |
|
|
 |
2003. 11. 21(금)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회관 회의실 |
|
|
|
한국사회의 발전과 NGO 및 언론의 역할 |
|
|
 |
2002. 11. 21(금) 한국외대 교수회관 회의실 |
|
|
|
현대 민주주의의 대안적 모델로서의 미국 결사체주의 |
|
|
 |
2004. 2. 23(월) 중앙선관위 선거연수원 회의실 |
|
|
|
17대 총선과 시민단체의 역할 |
|
|
 |
2004. 5. 20(목) 한양대학교 백남학술관 |
|
|
|
한국의 시민사회 지표와 여론 |
|
|
 |
2004. 7. 8(목) 경북대학교 복지관 교수 회의실 |
|
|
|
민주화, 지역발전, 그리고 NGO |
|
|
 |
2004. 11. 26(금) 전남대학교 용봉문화관 |
|
|
|
한국의 민주주의와 시민사회, 그리고 NGO |
|
|
 |
2005. 1. 14(금) 세종문화회관 4층 컨퍼런스홀 |
|
|
|
한국사회의 갈등과 NGO |
|
|
 |
2005. 4. 13(수) 배재정동빌딩 A동 로비층 |
|
|
|
‘시민교육법’ 제정을 위한 토론회 |
|
|
 |
2005. 5. 13(금) 서울대학교 교수회관 |
|
|
|
NPO/NGO의 조직관리 : 현실과 과제 |
|
공동주최: 한국비영리학회 / 후원: 삼성 |
|
|
 |
6월 17일(금) 대전광역시청 3층 세미나실 |
|
|
|
지방자치의 발전과 NGO의 역할 |
|
공동주최: 대전시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/ 후원: 대전광역시 |
|
|
 |
9월 9일(금) 배재정동빌딩 1층 |
|
|
|
NGO의 운영평가방향과 과제 |
|
공동주최: 명지대학교 지방자치센터 / 후원: 서울특별시 |
|
|
 |
10월 14일(금)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2 |
|
|
|
아시아시민사회와 NGO |
|
공동주최: NGO담당 대외직명대사, 아시아NGO센터 / 후원: 현대INI스틸 |
|
|
 |
11월 26일(토)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관 |
|
|
|
NGO학의 정체성과 한국적 토착화 |
|
후원: 경북대학교, 시민의 신문, 대구매일신문, TBC |
|
|
 |
11월 26일(토) 경북대학교 |
|
|
|
차기회장으로 오재일(전남대) 선출 |
|
|
 |
2006년 1월 25일(수) 한국프레스센터 |
|
|
|
2006년도 사업계획안 및 예산안, 운영내규에 관한 제반사항 논의 |
|
|
 |
2006년 3월 30일(목)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|
|
|
|
5.31 지방선거와 시민운동의 역할 |
|
|
 |
|
|
|
|
지역혁신과 NGO의 역할 |
|
|
 |
2006년 9월 15일 국가인권위원회 배움터 |
|
|
|
"글로벌 경쟁시대, NGO의 생존전략" |
|
|
 |
2006년 9월 16일 국민대학교 본부관 315호실 |
|
|
|
개방화시대, 정부의 역할과 시민사회의 발전전략 |
|
|
 |
|
|
|
|
NGO의 이론과 실천 |
|
|
 |
|
|
|
|
민주주의의 발전과 NGO의 역할 |
|
|
 |
|
|
|
|
아시아의 시민사회 경험과 전망 |
|
|
 |
2007년 9월 7일 서강대학교 대사관 국제회의실 |
|
|
|
시민사회 위기론의 실재성과 허구성 |
|
|
 |
2008년 3월 22일 단국대학교 죽전캠퍼스 인문관 |
|
|
|
지역 시민사회의 이해와 활성화 |
|
|
 |
2008년 4월 18일 아주대학교 율곡관 국제 영상회의실 |
|
|
|
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민주화와 시민사회 |
|
|
 |
|
|
|
|
공공성의 위기와 시민사회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|
|
|
 |
2008년 8월 22일 공주대학교 백제 교육문화회관 309호 |
|
|
|
거버넌스적 접근을 통한 충남지역 문제의 해결 |
|
|
 |
|
|
|
|
이명박 정부에서의 국가와 시민사회 |
|
|
 |
|
|
|
|
전환기 한국 시민사회와 거버넌스 |
|
|
 |
2009년 8월 24일 여수엑스포 홍보관 회의실 |
|
|
|
세계 박람회와 시민참여 [ 여수 엑스포를 중심으로 ] |
|
|
 |
2009년 1월 16일 리더십센터 제주교육원 |
|
|
|
제주 특별자치도의 시민참여와 재정주권, 그 쟁점과 전망 |
|
|
 |
2010년 3월 5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센터 2F국제 회의장 |
|
|
|
역외주민 기피시설 문제의 해결과 시민참여 |
|
|
제27차 한국NGO포럼 |
2010년 1월 19일, 국회의원회관 |
|
|
|
역외주민기피시설 문제의 해결과 시민참여 |
|
|
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개최 |
2011년 5월 28일, 경희대 |
|
|
|
과연, 한국사회 NGO위기인가 |
|
|
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|
2011년 12월 9일, 대전광역시청 |
|
|
|
새로운 시대를 향한 자치와 시민리더십 |
|
|
제28차 한국NGO포럼 |
2011년 11월 4일, 경남발전연구원 |
|
|
|
글로벌 시대의 시민주의와 자치분권 |
|
|
제29차 한국NGO포럼 |
2012년 3월 31일, 서울YMCA |
|
|
|
시민사회의 정치참여 어떻게 볼것인가 |
|
|
2012년도 하계학술대회 개최 |
2012년 7월 20일, 금천구청 |
|
|
|
사회적 경제와 시민사회의 역할 |
|
|
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개최 |
2012년 12월 7일, 서울연구원 |
|
|
|
공공철학과 서울시 |
|
|
제30차 한국NGO포럼 |
2012년 11월 27일, 국회 귀빈식당 |
|
|
|
응답하라 2012: 새로운 정치, 새로운 시민사회 |
|
|
제31차 한국NGO포럼 |
2013년 4월 12일, 충남도청 대회의실 |
|
|
|
시민사회 역량강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|
|
|
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개최 |
2013년 5월 30일, 세종특별자치시청 |
|
|
|
세종시의 공공철학을 조명하다 |
|
|
2013 공동학술대회 개최 |
2013년 10월24~26일, 한일장신대 |
|
|
|
협동조합과 시민사회 그리고 한국교회의 역할 |
|
|
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개최 |
2013년 9월 26일, 서울여성플라자 |
|
|
|
윤리적 소비와 시민사회 |
|
|
제33차 한국NGO포럼 |
2013년 11월 6일~8일, 경희대 |
|
|
|
강원DMZ 국제평화생명포럼 |
|
|
2013 공동학술대회 개최 |
2013년 12월 28일, 경희대 |
|
|
|
기로에 선 한국의 ‘NGO학’과 NGOs |
|
|
제34차 한국NGO포럼 |
2014년 2월 7일, 한일장신대 |
|
|
|
NGO교육과정개발 워크숍 |
|
|
2014 공동학술대회 개최 |
2014년 2월 7일, 한일장신대 |
|
|
|
한국과 아시아의 시민운동과 인권지표 개발 |
|
|
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개최 |
2014년 5월 30일, 경희대 |
|
|
|
공공인재 육성을 위한 NGO교육 |
|
|
제35차 한국NGO포럼 |
2014년 6월 25일, 대구 엑스코 |
|
|
|
시민참여행정과 시민자치 공동체 |
|
|
제36차 한국NGO포럼 |
2014년 9월 26일, YMCA전국연맹 |
|
|
|
국가 거버넌스 평가 포럼 |
|
|
제37차 한국NGO포럼 |
2014년 11월 12일, 프란지스코 회관 |
|
|
|
중앙정부 거버넌스 평가 포럼 |
|
|
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개최 |
2014년 12월 5일, 천안NGO센터 |
|
|
|
로컬 거버넌스와 NGO |
|
|
2014 공동학술대회 개최 |
2014년 12월 27일, 경희사이버대 |
|
|
|
한국 현대정치사 바로알기 |
|
|
2015 춘계학술대회 |
2015년 6월 12일, 목원대학교 |
|
|
|
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민간공익활동 지원제도모색 |
|
|
세종시 민주시민교육포럼 |
2015년 8월 27일, 세종시 교육청 |
|
|
|
지역공동체와 세종시민교육의 과제 |
|
|
2015 추계학술대회 |
2015년 10월 22일, 광주광역시의회 |
|
|
|
NGO와 지방자치
?시민과 리더십의 구성 |
|
|
충남 민주시민교육포럼 |
2015년 11월 26일, 충남 덕산 리솜스파캐슬 |
|
|
|
한국 민주시민교육의 모색과 지역공동체 |
|
|
2016 춘계학술대회 |
2016년 5월 12일, 경희대학교 |
|
|
|
4.13총선과 시민사회
:정치사회에 대한 시민의 역할 |
|
|
UN NGO Conference |
2016년 5월 30일, 경주 하이코 |
|
|
|
Foundation of UN NGO Center for Global Civil Society |
|
|
2016 추계학술대회 |
2016년 11월 4일, 덕산 리솜스파캐슬 |
|
|
|
지방정부 민관협치의 실태와 전망 |
|
|
시민정치포럼 |
2016년 12월 9일, 경희대학교 |
|
|
|
민관협치와 시민민주주의의 성장 |
|
|
대전-세종 정책엑스포 학술대회 |
2017년 3월 16일, 대전세종연구원 |
|
|
|
시민주권도시와 시민운동 |
|
|
2017 춘계학술대회 |
2017년 5월 19일,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|
|
|
|
한국의 국가개조와 시민사회의 역할 |
|
|
제 101차 포럼 |
국정운영을 위한 한국 시민사회의 전략적 활용 |
|
|
|
2017년 6월 23일, 광주NGO센터 |
|
|
정책토론회 |
2017년 10월 6일, 서울시의회 |
|
|
|
민간단체 공익활동 재정지원 효과성 분석 제도개선 방안 |
|
|
기획학술대회 |
2017년 10월 20일, 충청남도공익활동지원센터 |
|
|
|
로컬 거버넌스 성공모델 개발 |
|
|
2017 추계학술대회 |
2017년 12월 15일, 경희대학교 |
|
|
|
종교단체의 공익활동과 NGO |
|
|
2018 춘계학술대회 |
2018년 5월 9일, 부산시청 |
|
|
|
민선7기 지방분권과 시민사회의 역할 |
|
|
기획학술대회 |
2018년 10월 19일, 대전평생교육진흥원 |
|
|
|
민주주의 공고화를 위한 시민사회의 과제와 민주시민교육 |
|
|
연례합동학술회의 |
2018년, 12월 14일, 아주대학교 본관 율곡관 2층 204호 |
|
|
|
민족주의, 세계시민주의 그리고 남북통일 |
|
|
2019년도 춘계학술회의 |
2019년 3월 22일, 경희대학교 본관 대회의실 |
|
|
|
민주시민교육 관련 법제화의 쟁점과 지역별 조례 실태 |
|
|
한국NGO학회 지역포럼: 5·18 기념 학술회의 |
2019년 5월 26일, 5·18민주화운동기록관 7층 |
|
|
|
5·18과 시민사회의 역할 |
|
|
마을자치와 마을민주주의 공동학술회의 |
2019년 6월 21일, 안동예술의전당 국제회의장 |
|
|
|
한국NGO학회 추계학술회의 겸 환경NGO포럼 |
2019년 9월 20일, 경희대학교 청운관 509호 |
|
|
|
기후변화 및 미세먼지 문제와 환경NGO들의 실천적 대응방안 |
|
|
동계학술회의 |
2019년 11월 29일, 대전세종연구원 |
|
|
|
시민·주민 주권을 구현하는 지방자치 현재와 미래의 대화 |
|
|
특별학술회의 |
2019년 12월 6일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컨퍼런스룸 |
|
|
|
한국시민운동 30년 과거·현재·미래 |
|
|
2020년도 춘·하계공동학술회의 |
2020년 6월 19일, 대전평생교육진흥원 4층 세미나실 |
|
|
|
UN 지속 가능 발전 목표(SDGs)와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연계 방안 |
|
|
추계공동학술회의 |
2020년 9월 25일, 대구경북연구원 11층 대회의실 |
|
|
|
공론장의 위기 극복을 위한 숙의민주주의 |
|
|
한국NGO학회 20주년 기념 공동학술회의 |
2020년 12월 8일, 경희대학교 청운관 407호 |
|
|
|
한국시민사회의 성찰과 새로운 실천의 모색 |
|
|
2021년 특별기획학술회의 |
2021년 4월 20일, 경기도청 북부청사 상황실 |
|
|
|
접경 지역 시민사회의 현황, 전망과 역할 |
|
|
분권과 전환의 시대: 읍면동 자치 도입방안 모색을 위한 전국 컨퍼런스 |
2021년 6월 30일, 대구시 수성구청 대강당 |
|
|
|
분권과 전환의 시대: 읍면동 자치 도입방안 모색 |
|
|
한국NGO학회 공동학술대회 |
2021년 11월 19일,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 |
|
|
|
풀뿌리 민주시민교육의 어제, 오늘, 그리고 내일 - 전국 현장으로부터의 사례와 주창, 현장에서 답을 찾다! |
|
|
특별 학술회의 |
2022년 4월 6일, 국립외교원 2층 세미나실 |
|
|
|
20대 대선 결과와 한국정치사회의 변화 - 분석과 전망 |
|
|
합동 국제 심포지움 |
2022년 6월 10일, 아주대학교 율곡관 |
|
|
|
아시아 시민사회 리더십 |
|
|
분권과 자치 수성컨퍼런스 |
2022년 10월 28일, 대구시 수성구청 대강당 |
|
|
|
풀뿌리 차지 활성화와 지역의 위기 극복 |
|
|
신년 특별학술토론회 |
2023년 1월 4일, 성균관대학교 법학관 116호 |
|
|
|
ESG와 한국 시민사회 |
|
|
2023년 춘계 학술대회(한국행정학회 공동주최) |
2023년 4월 14일 영남대학교 |
|
|
|
국가적 난제 해결과 풀뿌리 분권자치제도의 필요성
풀뿌리 분권자치제도 도입방안(Round Table) |
|
|
한국NGO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총회 |
2023년 11월 16일 - 17일 경주시 서악마을 문화공간 |
|
|
|
지방소멸의 대안: 자치분권, 사회적 경제, 글로벌 연대 |
|
|
한국지방행정학회 하계 공유학습 공동학술대회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방시대: 다시 길을 묻는다 |
2024년 8월 14일 전북대학교 국제컨벤션센터 |
|
|
|
지역활력과 전북의 전환 |